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11

환율 금융위기 최고 제2의 IMF 위기? 2025년 4월 8일,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원·달러 환율 급등세는 2024년 12월 8일 다시 한 번 정점을 찍었습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5.4원 오른 1,473.2원으로 마감되며, 주간 거래 종가 기준으로는 2009년 금융위기 당시 1,483.5원을 기록한 이후 약 16년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하루 사이에도 환율은 1,471.0원에 개장한 뒤 한때 1,466.3원까지 하락했다가 오후 3시 무렵에는 1,473.9원까지 오르며 고점을 갱신했습니다. 이는 외환시장이 얼마나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입니다.무역 갈등이 불붙인 환율이번 환율 상승의 가장 큰 촉매제는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갈등이었습니다. 양국의 대립은 단순한 통상 문제를 넘.. 2025. 4. 8.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익 6조6천억원 삼성전자가 2025년 1분기에 발표한 실적은 최근 침체된 반도체 산업의 여파 속에서도 시장의 예상을 훨씬 웃도는 반등을 보여주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특히 갤럭시 S25 시리즈의 흥행과 D램 출하량 증가가 매출과 이익 성장을 주도했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으며, 하반기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과 함께 긍정적인 흐름이 지속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1분기 실적 개요삼성전자가 8일 공시한 2025년 1분기 잠정 실적에 따르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6조6천억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0.15% 소폭 감소한 수치지만, 시장의 평균 전망치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입니다.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컨센서스는 약 4조9천431억원 수준이었으나 실제 실적은 이를 33.5%나 웃돌았습니다.같은 기간 매출은 .. 2025. 4. 8.
경상수지 22개월 연속 경제 어려운 것이 맞나? 2024년 2월, 한국의 경상수지가 71억8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면서 22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같은 시기 일본 역시 작년 11월 기준으로 3조3천525억엔의 경상수지 흑자를 나타내며, 똑같이 22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했습니다. 두 나라 모두 상품수지의 회복과 소득수지 호조가 경상수지 개선의 주된 배경으로 작용했으며, 글로벌 경기 회복과 자국 산업의 경쟁력 유지가 그 흐름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한국의 경상수지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2월 경상수지는 약 10조5천억 원에 해당하는 71억8천만달러 흑자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올해 1월 29억4천만달러보다 42억달러 넘게 증가한 수치이며, 작년 2월(64억4천만달러)과 비교해도 7억달러가량 늘어난 결과입니다. 특히 설 연휴.. 2025. 4. 8.
트럼프 관세 일시정지? 가짜뉴스 주장! 진실은?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다시 한번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JP모건 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CEO가 관세 정책의 부작용을 경고한 데 이어, 뉴욕 증시는 연일 급락세를 이어가며 시장 전반에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인플레이션 우려를 전면 부정하고 관세의 정당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어, 경제 전망에 대한 논란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습니다.뉴욕 증시, 급락 속 약세장 진입뉴욕 증시는 7일(현지시간) 개장 직후부터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개장 직후 1,400포인트 이상 하락하며 3.7% 가까운 낙폭을 보였고,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 넘게 하락하며 심리적 지지선인 5,000선을.. 2025. 4. 7.
코스피 사이드카 발동 해제 시점은? 4월 7일 오전, 코스피200 선물 지수가 급락하면서 한국 증시에서 사이드카가 발동됐습니다. 사이드카는 흔하게 등장하지 않지만, 주식 시장이 급격히 출렁일 때마다 작동하는 중요한 안전장치입니다. 이번 발동은 약 8개월 만으로, 글로벌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과 국내 투자심리 악화를 반영하는 강한 경고음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이드카란 과연 무엇이며, 언제 어떻게 발동되고 어떤 효과를 주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사이드카란?사이드카는 선물 시장의 급격한 움직임이 현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 매매에 의한 급등락이 나타날 경우, 일정 시간 매매 효력을 제한함으로써 시장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하죠. 이 제도는 1987년 미국 증시 폭락 이후 고안된 시장 안전.. 2025. 4. 7.
반응형